• 아시아투데이 로고
전통적 ‘남고여저’ 결혼관…상위층女·하위층男 비혼 높여

전통적 ‘남고여저’ 결혼관…상위층女·하위층男 비혼 높여

기사승인 2016. 11. 12. 23:01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여성은 학력이 높고 고소득일수록, 남성은 학력이 낮고 저소득층일수록 결혼하기 힘 구조로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의 교육수준과 노동시장 참여율이 높아지고 있지만, 여성이 자신과 비슷하거나 우월적인 사회적 지위를 가진 남자와 혼인하는 전통적인 ‘남고여저’ 현상이 유지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 같은 남고여저의 결혼문화와 남성은 경제력을 부담하고 여성은 가사와 양육을 책임진다는 전통적인 결혼 가치관이 깨어지지 않는 한 초저출산의 문제는 쉽게 해결되기 어려울 것이란 분석이 나왔다.

12일 보험연구원 이정택 연구위원·오승연 연구위원은 ‘만혼·비혼자의 성별 특성과 저출산’보고서에 따르면 초혼연령과 30대 비혼율의 급격한 증가가 초저출산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30~34세의 비혼율은 2010년 38.5%로 1995년 대비 두 배 이상 상승하였고, 35~39세의 미혼율은 1995년 4.6%에 불과했으나, 2010년 19.1%로 증가했다.

이에 따라 저출산 대책이 기혼여성의 출산력 제고에서 만혼·비혼 해결을 위해 일자리·주거 정책으로 옮겨가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일자리·주거 문제 외에 결혼시장에서 ‘남고여저’ 구성비의 변화는 비혼·만혼 증가의 또 다른 중요한 요인이라는 지적이다.

여성의 교육수준 상승 및 노동시장 참여가 증가하면서 여성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아진 데 반해, 결혼문화는 여전히 전통적인 남고여저가 유지되면서 여성은 상위층일수록 남성은 하위층일수록 결혼하기 힘든 구조로 변화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실제 교육수준을 기준으로 남녀의 비혼율을 비교해보면, 남성은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여성은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비혼율이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5~39세 남성과 여성의 비혼율을 보면 남성은 고졸(31.8%)이 가장 높은 반면, 여성은 대학원 박사과정(28.9%)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정택 연구위원은 “여성의 학력수준이 상승하고 노동시장 참여율이 높아지면서 적합한 남자를 찾는 시간이 장기화 된다”며 “고학력 여성의 사회 진출이 활발해지고 고소득 일자리를 여성이 차지하게 되면서 과거보다 고소득 일자리를 차지한 남성들의 숫자는 그만큼 감소했다”라고 설명했다.

또 노동시장 참여율과 소득에서는 여성의 경우 미혼자가 기혼자보다 노동시장 참여율과 소득이 높은 반면, 남성의 경우 여성과 반대로 나타났다.

한국노동패널을 이용한 분석에 따르면 만 25~29세에 70%에 근접하는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율이 30대에 50%대로 하락했는데, 이는 고학력 여성들로 하여금 결혼을 미루는 직접적 동기로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 연구위원은 “남성의 경우 저소득층일수록 여성은 고소득층일수록 결혼하기 어려운 사실은 결혼과 부부관계에서 남성은 경제력을 부담하고 여성은 육아를 담당하는 전통적인 부부관계가 여전히 사회에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혼인 혹은 양육비용의 부담으로 결혼을 미루는 것이라면 고용과 주거 정책이 초저출산 극복에 효과적인 정책일 수 있으나, 배우자를 찾지 못해 발생하는 비혼 문제에 대한 대응책은 되지 못할 것으로 진단했다.

이 연구위원은 “맞벌이를 선호하는 남성이 크게 늘었지만, 고학력 여성의 비혼율은 다른 나라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며 “이는 여성의 사회경제적 지위는 향상되었지만, 양육과 가사에 대한 제도적인 뒷받침이 여전히 미흡하며 결혼에서 양성평등의 문화가 확산되지 못한 원인”이라고 말했다.

이어 “결혼시장의 불균형에서 기인하는 출산율 하락을 반영할 경우 중단기적 저출산 정책 수립의 기준이 되는 목표 출산율은 현재보다 낮은 수준으로 조정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