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상 종가집이 지난 10월10일부터 19일까지 종가집 블로그에서 총 2885명의 주부들을 대상으로 ‘올해 김장 계획’에 관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50대 이상 주부들 중 김장 포기를 선언한 응답자가 47%로 2016년(33%)년 대비 14%P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고 7일 밝혔다.
또한 전체 응답자 중 ‘김장 계획이 없다’고 응답한 비율은 56%로 2016년 대비 9%P 증가했다.
50대 이상 주부들이 ‘김장을 하지 않은 이유’로 고된 노동(50%)을 제일 큰 이유로 꼽았고, 이어 시간 일손 등 부족(24%)·적은 식구수로 김장 불필요(16%) 등이 뒤를 이었다. 대안으로 ‘포장김치를 이용하겠다’는 응답자가 61%였다.
종가집 측은 시간과 노력에 대한 가치를 높게 여겨 김장을 하는 것보다 사먹는 게 합리적이라는 인식이 형성되고 있고, 올여름 기록적인 폭염으로 작황부진에 김장 재료 물가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높게 올라 심리적인 부담도 더해진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반면 2530 젊은 주부들의 51%가 김장을 하겠다는 응답해 이채를 보였다. 특히 이들은 ‘친정이나 시댁의 도움 없이 직접 김장을 담근다’는 답변이 51%로 가장 많아 2016년 조사 당시 ‘친정이나 시댁과 함께 김장을 한다(66%)’는 의견을 앞질렀다.
연령대별 ‘셀프김장’ 비율은 6065 주부가 74%로 가장 높았고 뒤를 이어 2530 주부가 69% 차지하기도 했다.
젊은 주부들의 ‘셀프김장’ 이유에 대해 48%가 ‘가족 입맛에 딱 맞는 김장을 담그고 싶어서’를 선택했고, 이어 29%의 응답자가 ‘김장 양이 많지 않아서’를 꼽았다.
실제 35세 이하 셀프김장족 중 어느 정도의 김장을 담그냐는 질문에 20포기 이하가 60%를 차지했고, 10포기 이하라는 답변이 26%를 차지해 김장의 소량화 추세를 뒷받침했다.
종가집은 절임배추와 시판 양념 등 노동 강도를 완화한 것이 김장 방식의 변화를 가져다줬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김장 담그는 방식’에 대한 조사에서 57%의 주부들이 절임배추를 이용한다고 답했으며, ‘절임배추 구입 후 양념 속만 직접 만든다’는 답변이 44%, ‘절임배추와 양념 속 모두 구입한다’는 답변이 13%였다.
한편 ‘김장 예상 시기’를 묻는 질문에는 ‘11월 말(31%)’과 ‘11월 중순(30%)’ ‘12월 초(22%)’ 순으로 많이 답했다. ‘함께 김장을 담그고 싶은 연예인’으로는 지난해에 이어 박보검이 올해도 1위를 차지했으며, 이어 2위에는 김수미, 3위에는 공유, 4위는 유재석, 5위에는 이영자와 정해인이 공동으로 이름을 올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