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최악 미세먼지’가 산업판도 바꾼다… 친환경 수요 ‘폭발적’

‘최악 미세먼지’가 산업판도 바꾼다… 친환경 수요 ‘폭발적’

기사승인 2019. 03. 06. 08:02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포토]숨막히는 도심
사진 아시아투데이 정재훈 기자 =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에 닷새 연속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가 시행된 5일 서울 강남구 압구정역 인근이 미세먼지로 뿌옇게 보이고 있다.
사상 최악의 미세먼지가 수소·전기차와 친환경 에너지 흐름을 가속화 하는 촉매제로 작용하고 있다. 미세먼지로부터 촉발된 친환경 수요와 산업 생태계 변화에 기업들이 발빠른 대응에 나서면서다.

5일 관측 사상 최악의 미세먼지가 전국을 강타한 가운데, 수도권에선 처음으로 닷새 연속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가 발령됐다. 이낙연 국무총리는 국무회의를 열어 “산업부 장관은 발전소에, 국토부 장관은 건설현장을 방문해 이행상황을 점검하라”고 지시했다.

당장 산업부는 포스코에너지·두산퓨얼셀·SK건설 등 발전용 연료전지 기업들을 만났다. 연료전지 보급 현황을 점검하고 육성방안을 논의하기 위해서다. 수소를 원료로 하는 연료전지는 대표적인 친환경 도심 분산형 전력생산 시설이다.

미세먼지가 촉발한 후폭풍은 발전업계에 가장 먼저 들이 닥쳤다. 앞서 1일부터 정부는 미세먼지 저감을 이유로 총 2.1GW 규모 국내 노후 석탄발전소 4기 가동을 중단했다. 한전이 지난해 2100억원의 적자를 본 이유는 저렴한 원전·석탄발전 대신 값비싼 LNG발전 가동을 늘려서다. 조만간 전기료 인상이 있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는 배경이기도 하다.

이런 상황에서 지난 4일 SK하이닉스가 1조6800억원을 쏟아부어 반도체 공장 인근에 LNG기반 자체 발전소 건설에 나선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는 해석이다. 각종 이유로 야기 될 수 있는 전력불안 해소 조치로 풀이된다. 재계는 향후 안정적 전기 공급과 전기료 인상 등 외부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기업별 스마트그리드 시스템을 강화하거나, 자체 전력 공급체계를 갖추는 사례가 더 늘 것으로 보고 있다.

미세먼지 기승에 친환경차는 불티나게 팔려나가고 있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서 친환경 자동차가 10만대 넘게 팔렸다. 친환경 승용차 점유율은 8.2%로 이미 유럽과 미국을 넘어섰다. 국내 수소전기차 성장률은 전년대비 780%를 돌파했고, 전기차는 연간 3만대 이상 팔려나갔다.

전기차, 수소차, 나아가 수소경제에 대한 기업별 베팅이 가속화 되고 있는 이유다. 삼성·SK·LG는 전기차배터리를 통해 글로벌 전기차 시장 개화를 기다리고 있다. 포스코는 배터리 핵심소재 ‘음극재’ 개발과 공급에 나서며 산업판도 변화에 편승했다.

반면 수소차 금속분리판 투자를 결정한 현대제철이나, 수소충전소·수소저장용기 개발에 매달리고 있는 효성·코오롱 등은 수소에 미래를 걸었다. 탈원전 후폭풍을 맞고 있는 두산의 경우 두산퓨얼셀 등을 통해 연료전지 시장서 두각을 드러내고 있다.

미세먼지 다배출 사업장으로 여론의 질타를 받고 있는 철강·화학업계에서도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다. 지난달 말 포스코는 2021년까지 1조700억원을 투자해 친환경 설비 구축에 나서기로 했다. SK에너지는 ‘그린 이노베이션 2030’을 선포하며 자사의 아스팔트제품 전부를 2030년까지 친환경 제품으로 전환하겠다고 했다. 김준 SK이노베이션 사장이 신년사에서 밝힌 올해 비즈니스 모델 혁신 중 하나는 ‘환경 이니셔티브’다.

전문가들은 기업들의 친환경 중심 사업 전략이 거스를 수 없는 흐름이고 더 가속화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서동혁 산업연구원 신산업실 선임연구위원은 “미세먼지 심화에 따라 소비자들의 친환경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어, 관련 제품의 폭발적인 대중화가 이뤄질 수 있다”면서 “이에 부합하는 맞춤형 대응이 기업간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고, 성공한다면 상당한 수요 선점이 가능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다만 서 선임연구위원은 “이같은 흐름에 친환경사업을 벌이는 회사라면 다양한 수혜를 볼 수 있지만, 에너지소모적이고 공해를 유발하는 사업군에는 환경설비 구축 등 영업환경에 단기적 부담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친환경 바람은 세계적 추세이기 때문에 기업들이 감내해야 할 몫일 뿐 아니라,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변화할 수록 기회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