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세원 삼성전자 DS부문 부사장은 31일 올해 2분기 경영실적 공시 직후 진행된 컨퍼런스콜에서 “이번 일본 정부의 조치는 소재에 대한 수출 금지는 아니지만, 새로운 허가 절차에 따른 부담이 있다”며 “향후 여러 가지 진행 방향에 대한 불확실성이 있어 (영향을) 가늠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밝혔다.
또 “어떤 경우에도 생산에 미칠 수 있는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경영진과 관련 부서가 다양한 대책을 수립해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이 화이트리스트에서 제외되면 수출 절차 간소화 등 우대조치가 폐지되는 만큼 국내 주력 산업인 반도체·디스플레이 업계의 타격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특히 미·중 무역전쟁으로 반도체·디스플레이 업계가 한차례 직격탄을 맞은 데 이어 일본의 경제 보복마저 장기화될 경우 생산 차질은 물론 추가 피해가 발생할 것으로 전자업계는 우려하고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반도체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이어진 수요 감소로 현재 2~3개월의 재고가 쌓여 있어 즉각적인 피해는 없을 것”이라면서도 “재고 소진 전까지 대체재를 찾지 못할 경우 제품의 품질이 크게 떨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일본의 수출규제 강화가 하반기 큰 변수로 떠오르면서 삼성전자는 대응 방안 마련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앞서 이재용 부회장은 수출규제 직후인 지난 7~12일 일본 출장 이후 14일 긴급 사장단 회의를 통해 비상상황에 대비한 ‘컨틴전시 플랜’ 마련을 지시했다. 이어 18일 국내 협력사를 대상으로 일본산 소재·부품 전 품목에 대한 90일치 이상의 재고 확보를 요청했다. 화이트리스트 제외 시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는 소재의 대체 공급처를 찾기 위한 움직임도 분주해졌다.
한편, 최근 솔브레인이 생산하는 액체 불화수소가 삼성전자의 품질 테스트를 통과했다는 일부 보도가 나오기도 했다. 이에 대해 삼성전자 관계자는 “현재 거래선상에 있는 업체에 대해 언급하기는 적절치 않다”고 말을 아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