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은경 질병관리본부장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신종 코로나)을 예방하기 위해서 "면 마스크보다는 수술용 마스크나 보건용 마스크가 더 안전하다"고 밝혔다.
4일 정은경 질병관리본부 중앙방역대책본부장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비말(기침·재채기를 할 때 나오는 침 등의 작은 물방울)로 전파되는 바이러스를 차단하기 위해 마스크를 써야 하지만, 면 마스크는 젖을 수 있고, 바이러스를 완전히 보호하는 데 제약이 있다"라며 "수술용 마스크나 보건용 마스크가 안전하다"라고 강조했다.
정 본부장은 "일회용 제품을 재사용할 시엔 필터 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라며 일회용 마스크를 재사용하면 안 된다고 말했다.
이어 "마스크를 쓰는 것도 중요하지만 마스크 안을 만지면 비말 등이 안에 묻을 수 있다"라며 "마스크를 벗을 때도 깨끗하게 잘 벗어야 한다"라고 마스크 안쪽을 손으로 만지면 안 된다고 지적했다.
보건용 마스크를 구매할 때는 '의약외품', 'KF 등급'을 확인해야 한다. KF는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인증 등급으로, KF 뒤에 붙은 숫자가 높을수록 차단 효과가 크다.
의약외품으로 허가돼 시중에 판매되는 제품으로는 KF80, KF94, KF99 등이 있다. KF80은 평균 0.6㎛(마이크로미터) 크기의 미세입자를 80% 이상, KF94와 KF99는 평균 0.4㎛ 크기의 입자를 각각 94%, 99% 이상 걸러내는 것으로 알려졌다.
마스크를 착용할 때는 오염물질이 들어오지 않도록 밀착하는 것이 중요하다. 코로 숨을 쉴 때는 콧속 점막 등이 미세먼지를 흡착해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지만, 입으로 공기를 들이마실 때는 미세먼지를 걸러낼 수 없으므로 호흡은 가급적 깊게 들이쉬지 않도록 해야 하고, 입으로 숨을 쉬는 것은 피해야 한다.
정 본부장은 "마스크 쓰는 법도 예방차원에서 중요하지만 가장 중요한 수칙은 '손 씻기'"라며 "손에 묻은 바이러스가 눈이나 코, 입을 통해 들어갈 수 있으므로 손 씻기가 예방수칙에서 가장 중요하고, 그 다음이 마스크다"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