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 곳 없는 국내 조선업… 구조조정 불가피
고원 기자
2016/01/08 06:00
2016/01/08 06:00
지난해 국가별 수주 실적 중국에 밀려 2위
엔저 업고 일본 공격적 수주도 이어져
지난해 '조선 3사' 적자 총 8조원 이를 듯
국내 조선업이 전례 없는 위기로 극심한 진통을 앓고 있다. 세계 수주 실적 1위 자리는 4년째 중국에 내준 상태고, 현대중공업 등 ‘조선 3사’는 사상 최대 적자를 낼 것으로 추산됐다. 정부는 조선사들의 자구노력을 전제로 체질개선을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7일 영국의 조선해운 분석기관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지난해 국가별 수주실적에서 한국은 1015만CGT(수정환산톤수)를 기록해 중국에 10만CGT 차이로 뒤쳐지며 1위 탈환에 실패했다. 중국은 지난 2012년부터 4년 연속 수주 실적 1위를 수성 중이다.
지난해 12월 전세계 선박 발주량은 6년여 만에 최저치를 경신한 가운데 한·중·일 3국의 시장점유율 차이는 3%포인트 내외에 불과했다. 업계 불황으로 발주 감소 및 엔화 약세를 앞세운 일본 기업과 중국 업체의 맹공 등 수주 경쟁 심화로 지난해에 이어 국내 조선사들의 수주 부진과 저수익 국면은 지속될 전망이다.
또 업계는 현대중공업·삼성중공업·대우조선해양 등 ‘조선 3사’의 지난해 적자가 총 8조여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했다. 대규모 손실의 최대 책임자인 대우조선의 경영 정상화를 위해 산업은행 등 채권단은 4조2000억원을 지원키로 결정했지만 대우조선의 회생 불가론 등 우려가 쉽게 잠식되지 않는 모양새다.
전문가들은 국내 조선업의 위기 원인으로 해양플랜트 사업 실패를 꼽고 있는 만큼 최근 저유가 기조는 발주 취소 등 해양플랜트발 손실 확대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STX조선해양은 인력감축 등 다운사이징을 통해 중소조선사로 전환할 예정이고, 한진중공업은 지난 6일 채권은행에 자율협약을 신청했다. 갚아야 할 차입금은 많은데 현금이 부족해 대출상환을 유예해 줄 것을 요청한 것이다. 한진중공업의 차입금 의존도는 43.96%로, 한국은행이 발표한 조선업계 평균 28.5%에 비해 상당히 높은 수준이다.
2000년대 경쟁적 설비투자로 건조능력 과잉 상태에 빠진 중소조선사들도 어렵기는 마찬가지다.
중소조선사들이 대거 몰려있는 통영에서는 15여곳의 업체들 가운데 성동조선해양만이 삼성중공업에서 위탁경영을 받아 조업을 계속하고 있다. 성동조선은 올해 1월부터 삼성중공업과 경영협력을 통해 구조조정을 추진한다.
이밖에 오는 14일 본입찰을 앞두고 있는 SPP조선의 경우, 예비입찰 인수의향서를 제출한 곳 중 SPP 전체를 인수할 것으로 나선 기업이 없어 매각 또한 난항을 겪고 있고, 대선조선은 소형 탱커·여객선 등에 특화할 계획이다.
정부는 구조조정을 통해 공급과잉과 과당경쟁 문제를 해소한다는 입장이다. 또 고효율·친환경 선박 수요 증대 전망에 맞춰 연구개발(R&D)을 돕는 등 조선사들의 자구노력을 전제로 한 간접적 지원에 나설 방침이다.
정부 관계자는 “산업은행 등 채권단 중심의 구조조정을 통해 공급을 감소시키고, 이는 수요 부진에 대한 대응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라면서 “뿐만 아니라 미래형 선박 수요에 대비한 R&D 지원 등 국내 조선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다각도로 방안을 모색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업계 관계자는 “당분간 대형 조선사들을 중심으로 인력 재배치 등 불필요한 비용절감을 통한 군살 빼기가 지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12월 전세계 선박 발주량은 6년여 만에 최저치를 경신한 가운데 한·중·일 3국의 시장점유율 차이는 3%포인트 내외에 불과했다. 업계 불황으로 발주 감소 및 엔화 약세를 앞세운 일본 기업과 중국 업체의 맹공 등 수주 경쟁 심화로 지난해에 이어 국내 조선사들의 수주 부진과 저수익 국면은 지속될 전망이다.
전문가들은 국내 조선업의 위기 원인으로 해양플랜트 사업 실패를 꼽고 있는 만큼 최근 저유가 기조는 발주 취소 등 해양플랜트발 손실 확대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2000년대 경쟁적 설비투자로 건조능력 과잉 상태에 빠진 중소조선사들도 어렵기는 마찬가지다.
중소조선사들이 대거 몰려있는 통영에서는 15여곳의 업체들 가운데 성동조선해양만이 삼성중공업에서 위탁경영을 받아 조업을 계속하고 있다. 성동조선은 올해 1월부터 삼성중공업과 경영협력을 통해 구조조정을 추진한다.
이밖에 오는 14일 본입찰을 앞두고 있는 SPP조선의 경우, 예비입찰 인수의향서를 제출한 곳 중 SPP 전체를 인수할 것으로 나선 기업이 없어 매각 또한 난항을 겪고 있고, 대선조선은 소형 탱커·여객선 등에 특화할 계획이다.
정부는 구조조정을 통해 공급과잉과 과당경쟁 문제를 해소한다는 입장이다. 또 고효율·친환경 선박 수요 증대 전망에 맞춰 연구개발(R&D)을 돕는 등 조선사들의 자구노력을 전제로 한 간접적 지원에 나설 방침이다.
정부 관계자는 “산업은행 등 채권단 중심의 구조조정을 통해 공급을 감소시키고, 이는 수요 부진에 대한 대응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라면서 “뿐만 아니라 미래형 선박 수요에 대비한 R&D 지원 등 국내 조선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다각도로 방안을 모색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업계 관계자는 “당분간 대형 조선사들을 중심으로 인력 재배치 등 불필요한 비용절감을 통한 군살 빼기가 지속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