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신뢰의 기술 ‘블록체인’의 무한한 잠재력
블록체인의 잠재적 가치를 느낀 기업가들이 열심히 뛰고 있다. 정부도 블록체인을 새로운 블루오션으로 보는 것은 분명하지만 일전에 정부가 보인 암호화폐에 대한 불분명한 입장으로 인해 블록체인 기술의 발전과 적용에 매진하는 기업가들의 기를 꺾고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현장에서 뛰고 있는 기업가들을 접할 기회가 있었는데 그들의 한결같은 주장은 암호화폐가 블록체인 기술이 적용된 극히 일부분일 정도로 블록체인 기술의 잠재력이 무한한 만큼 거래소를 양성화하고 거래세를 부과하는 것까지는 좋지만 정부의 정책이 블록체인 기술의 적용을 제한하는 효과를 내서는 안 된다는 것이었다.
인터넷이 몰고 올 변화가 처음 감지된 것은 이-메일이었지만 인터넷 쇼핑,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등으로 확장되었고 사물인터넷 등의 적용이 예상되고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블록체인 기술도 암호화폐를 통해 감지되고 있지만 암호화폐를 넘어 모든 기록할 가치가 있는 것들로 블록체인 기술의 적용이 넓어지고 이에 따라 사업의 영역도 크게 확장될 것으로 예상했다. 인터넷이 등장할 때 그 변화를 제대로 예측하지 못해 사업기회 선점의 기회를 놓쳤지만 블록체인 기술에서만큼은 뒤지지 않으려는 치열한 각축전이 전 세계적 수준으로 펼쳐지고 있다고 한다. 물론 암호화폐의 개발도 그 중 하나지만 거래순 100대 암호화폐 속에 아직 한국산이 없다고 했다.
블록체인의 이런 힘은 '신뢰'의 창출에 있다. 블록체인은 위변조가 불가능한 디지털 장부이기 때문이다. 종전에는 신뢰관계를 형성하기 어려웠던 경제주체들이 거래를 성사시키려면 신뢰할 수 있는 제3자의 개입이 필수적이었고 또 제3자의 서비스에 대한 비용지불이 불가피했다. 블록체인의 등장으로 상황이 완전히 달라졌다. 블록체인을 활용한 기술이 각 분야에 적용되면 그 분야에서 제3자의 개입이 불필요해질 뿐만 아니라 종전보다 더 안전하게 거래를 할 수 있다. 그래서 인터넷의 등장이 1경 달러의 시장을 창출했다면 블록체인은 10경 달러의 시장을 창출할 정도로 이 사회에 몰고 올 변화의 충격이 클 것이라는 게 다수 전문가들의 예측이다.
사실 이런 예측은 '거래비용'이라는 개념을 고려해보면 충분히 납득할 수 있다. 경제학에 거래비용 개념이 등장한 것은 그리 오래되지 않지만 대부분의 제도들은 부족한 신뢰를 확보하기 위해 거래비용을 줄이기 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부동산의 소유자와 그 부동산의 내역을 정리한 등기부 등본을 비치·관리하는 것만 하더라도 소유자에 대한 정보를 신뢰할 수 있게 만들기 위한 수단인데 이런 정보의 제공을 가능케 하려고 무수한 인력과 장비가 고용되고 있다. 그렇지만 블록체인 기술이 부동산정보와 관련해서 적용된다면 지금보다 훨씬 더 신뢰도도 높고 저렴하게 부동산의 소유와 이전에 관한 정보가 순식간에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최근 발간된 블록체인노믹스(오세현 저)를 보면 이런 블록체인의 기술이 접목될 수 있는 사업들이 열거되어 있는데, 정말 헤아릴 수 없이 많다. 쉽게 말해 신뢰의 확보가 필요한 거의 모든 것들이 사업화될 수 있다 고 보면 된다. 얼마 전 우리사회는 달걀파동을 겪은 바 있는데 이런 농수산물의 안전성에 대한 의구심 혹은 신뢰확보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면 매우 저렴한 비용으로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그 외에도 정부예산의 집행과 관련해서도 예산이 무자격자에게 지급되거나 이중지급되거나 혹은 원래 의도와 달리 지출되는 문제도 일종의 신뢰 확보 문제이기 때문에 블록체인 기술의 적용이 가능하다.
물론 블록체인 기술이 적용된 가장 뜨거운 아이템은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의 암호화폐다. 신뢰확보를 위한 다른 분야는 아직 적용가능성만 제시되고 있는 정도다. 그러다보니 암호화폐의 장래가치가 높아질 것으로 보는 투기적 수요가 몰려 암호화폐의 가격이 크게 출렁이고 이것이 사회문제로 비화되고 있는 게 사실이다. 그렇지만 빈대 잡으려고 초가삼간 태우는 우를 범하지 않도록 정부가 유의하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