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일자리] 지방 청년일자리 정책, 지자체에 힘 준다… 현장·맞춤형 전략추진
최원영 기자|2018/03/15 14:30
|
정부는 15일 문재인 대통령 주재로 청년일자리 대책 보고대회 겸 제5차 일자리위원회 회의를 열고 이같은 내용을 포함한 청년 일자리 종합대책을 내놨다.
정부는 먼저 지역 청년일자리 사업 수범사례를 발굴하고 권역별 현장토론회·민간전문가 자문 등을 통한 핵심 성공요인을 분석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지역정착지원형, 생태계 조성형, 지역사회서비스형 등 3대 ‘기본유형’을 설계할 방침이다.
생태계조성형은 간접 취·창업을 지원하는 방식이다. 각 지역경제의 문제해결을 위한 지역 맞춤형 사업으로 보면 된다. 해당지역 산업구성에 따라 산업·경제적 애로가 있는 분야에 청년을 투입해 문제를 해결하는 식이다. 기존 사업의 사각지대를 보완하고 사업간 연계·협력, 지역 특화 자원 활용 등을 통해 사업독창성을 확보하게 된다.
지역사회서비스형은 일 경험 기회를 제공하는 동시에 지역사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유형이다. 단순공공근로를 지양하고, 지역주민의 수요가 큰 사회서비스분야의 새로운 일자리를 청년 등이 참여하는 민간공모 등을 통해 발굴한다. 다양한 형태의 일 경험 기회를 제공하고, 유관 사업연계 및 추가지원을 통해 사후관리까지 지자체 자율에 따라 제공한다.
지자체가 지역별 여건을 고려해 기본유형을 결정하고, 지자체가 자율적·탄력적으로 사업을 설계하게 된다. 사업규모는 2021년까지 4년간이다. 직·간접고용은 총 7만명 이상이다.
올해는 지자체 선도사업 위주로 추진되고, 내년부터 2021년까진 연 2만명 목표로 추진된다. 지자체 수요조사를 통해 최종 사업규모 및 재정소요액을 산출한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