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兆 고부가산업 ‘그린바이오’… “새 수출먹거리로 키워야”

오늘 '국가 미래산업, 그린바이오 성장방안' 국회 포럼
농식품부 5개년 육성전략 뒷받침
"범국가 차원 연구·규제혁신 필요"

이지훈,이정연 기자|2023/05/22 06:00
정황근 농식품부 장관(가운데)이 지난 3월 27일 서울대 평창캠퍼스에서 열린 그린바이오 산업 발전 협의회 발족식에서 지역별 그린바이오 분야 우수사례를 둘러보고 있다. / 제공=농식품부
농업생명자원에 생명공학기술(BT) 등을 적용해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신(新)산업인 그린바이오 산업의 성장세가 눈부시다. 2020년 약 1조2200억 달러를 기록한 그린바이오 세계 시장 규모는 이후 연평균 6.7% 성장해 오는 2027년에는 1조9280억 달러에 달할 전망이다.

하지만 국내 그린바이오 시장은 2020년 기준 42억 달러 규모로 세계시장의 0.3% 수준에 불과하다. 이에 농업 분야의 새로운 수출 먹거리인 그린바이오의 발전 방향에 대해 의견을 나누는 자리가 22일 마련됐다.

박덕흠 국민의힘 의원과 아시아투데이가 마련한 '국가 미래산업, 그린바이오 성장방안' 정책포럼에서 김기연 농림축산식품부 그린바이오산업팀장는 '그린바이오산업 육성 정책방향'이라는 제목의 첫 번째 주제발표를 통해 그린바이오 산업의 육성 전략에 관해 설명하고 향후 나아갈 방향을 제시한다.
김 팀장은 "현재 우리나라의 그린바이오 산업은 디지털 육종, 대체식품 개발 등 혁신 기술 면에서 농업 선진국과 기술격차가 크고, 바이오와 정보통신(IT) 융복합 전문 인력 부족에 시달리고 있다"며 "또한 첨단농장과 파운드리 등 바이오 소재 대량 공급 시스템도 미흡한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농업의 미래 성장산업화를 위해 그린바이오 산업을 수출 산업으로 적극 육성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에 농식품부는 지난 2월 '그린바이오 산업 육성 전략'을 발표하고 △국내 그린바이오 산업 시장 확대(2020년 5조400억원→2027년 10조원) △그린바이오 글로벌 및 유니콘 기업 육성(2022년 1개→2027년 15개) △그린바이오 산업 수출 강화(2020년 2조7000억원→2027년 5조원)를 3대 목표로 제시했다.

김 팀장은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그린바이오 산업화 촉진과 혁신 기술 개발 및 인력 양성, 그린바이오 산업 생태계 조성 등 3대 추진전략을 중심으로 10개 과제를 내용으로 하는 구체적인 계획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대표적으로 농식품부는 그린바이오 산업화를 촉진하기 위해 전용 펀드 규모를 2027년까지 1000억원 이상 조성하고 아랍에미리트(UAE) 국부펀드, 정책금융 등 다양한 자금을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두뇌한국21(BK21) 교육연구단과 연구개발(R&D) 사업 등을 통해 그린바이오 분야 연구인력을 육성하는 한편 계약학과, 융합학부, 특수대학원 등을 활용해 산업인력도 양성한다. 이와 함께 그린바이오 규제혁신 등을 논의하는 공공플랫폼을 구축하고 기업, 정부, 유관기관 등이 참여하는 '그린바이오 산업 발전 협의회'도 운영할 방침이다.

이어진 두 번째 주제발표에서는 안병옥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유전체과장이 '그린바이오 기술기반 농업의 첨단산업화' 현황 및 활성화 전략을 제안한다.

최근 세계에서는 발암물질 줄인 밀과 같은 기능성 식품과 식물 기반 백신 등의 개발로 그린바이오 기술기반 농업이 더욱 증대되고 있다.

이에 안 과장은 국내에도 △핵심기술별 국가 플랫폼 구축 지원 △범국가적 산학연 공동연구사업 추진 △글로벌 시장 진출로 국내 그린 바이오 산업 확대 △규제혁신 등의 관련 산업 지원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구체적으로 효과적인 기술 생산을 위해선 부서간·분야간 연계협력을 더욱 강화해야 한다는 게 골자다. 일례로 최근 환경을 위해 농식품 부산물의 활용성을 증대시켜야 한다는 요구에 맞춰 농진청은 업사이클링 시스템을 만드는 사업을 추진 중에 있다. 지자체와 연계해 원료수거시스템을 개발하고, 각 대학과 연구기관에서 각 품질 체계 관리와 실용화를 위한 연구를 진행하면 이를 다시 식품·화장품·포장재 등 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처럼 핵심 사안별로 협력할 수 있는 범국가적·플랫폼적 지원체계 사례를 만들어가야 한다는 게 안 과장의 설명이다.

또한 오는 9월 준공 예정인 농생명슈퍼컴퓨팅센터를 통해 국민들도 빅데이터 분석을 할 수 있게 하고, 민간에서도 편리하게 바이오 연구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등 다양한 분야의 민간 참여 촉진을 위한 산업 전반에 대한 제도적 뒷받침과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안 과장은 "그린바이오산업 활성화를 위해선 최신 생명공학 기술 확보와 타 분야 기술도입이 필수"라며 "장기적인 투자와 적극적이고 다양한 협력을 통한 R&D·상업화·비즈니스 플랫폼 구축 및 확보 방안이 주요 과제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제작지원: 2023년 FTA분야 교육홍보사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