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사연, 코로나19 경제적 충격 ‘사회통합’도 약화

고용불안에 시달리고 근로소득이 감소할수록 사회통합 인식 정도도 하락

양가희 기자|2023/09/20 16:09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코로나19 유행이 시작된 2020년 2월을 기점으로 취업자 3분의1이 근로소득 감소를 경험했다. 코로나19 이후 경제적 어려움을 경험한 이들은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한국사회의 통합 정도를 낮게 인식했다. 한국 사회는 사실상의 엔데믹을 맞이해도 사회통합 저해라는 코로나19의 후유증을 앓고 있는 셈이다.

20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보고서 '코로나19의 경제적 충격과 사회통합 인식'에 따르면 코로나19로 경제적 어려움을 겪은 집단은 '우리나라의 사회통합이 잘 이뤄지고 있다'는 항목에 3.89점(10점 만점)을 매긴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코로나19 이전 1년(2019년 2월~2020년 1월) 간 신용카드 대금·대출이자·집세 연체, 공과금 미납, 적금 및 보험 해지 등 다섯 가지 경험이 없다가 코로나19 이후 하나라도 겪었다면 코로나19로 인해 경제적 어려움을 겪었다고 판단했다.
팬데믹 기간 동안 신용카드 대금이나 대출 이자를 연체한 비율은 1.9%포인트, 공과금을 기한 내 납부하지 못한 비율은 0.9%포인트, 집세가 밀린 적 있는 비율은 0.6%포인트, 돈이 필요해 적금 및 보험을 해지한 적 있는 비율은 3.2%포인트, 돈이 필요해 대출을 받거나 신청한 적이 있는 비율은 3.7%포인트 각각 증가했다.

이와 같이 5개 항목 중 하나라도 코로나19 이전 '없음'에서 코로나19 이후 '있음'으로 변화한 비율은 7.8%로 집계됐다. 이들 중 임시직·일용직·특수고용노동자, 고용주·자영업자, 주관적 소득계층 하층·중하층 집단에서 경제적 어려움을 겪은 비율이 다른 집단(상용직, 주관적 소득계층 중상층·상층)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다.

연구진에 따르면 코로나19로 경제적 피해를 받은 집단의 사회통합 인식이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된 점은 코로나19의 경제적 충격이 사회통합을 약화시켰다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연구진은 "분석 결과를 확장한다면 실업, 소득 감소, 빈곤 등 일상적인 사회적 위험도 사회통합에 부정적으로 기능할 것"이라며 "사회통합을 위해서는 일자리와 소득을 안정적으로 보장하고 빈곤을 완화하는 사회정책의 역할 강화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