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년기획] 22대 국회는 제머리깎기부터…자정기구 윤리특위 바로세우자
21대 국회 53건 윤리특위 제소됐지만 처리는 1건
의회품격 떨어뜨린 막말, 성희롱, 횡령 저질러도
제머리 못 깎는 국회 탓에 4년 임기 온전히 채워
박지은 기자|2024/01/01 05:00
|
역대 국회 윤리특위도 여야가 머리를 맞대 그나마 징계를 내린 경우도 솜방망이 처벌에 그치며 여론의 도마위에 오른 경우가 많았다. 이번 총선 뒤 출범할 22대 국회에서는 윤리특위 상설화, 외부인사로 윤리위원 구성 등 보다 엄격한 운영을 위한 조치가 뒤따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1일 국회 의안정보시스템에 따르면 21대 국회에서 발의된 의원 징계안은 총 53건 가운데 52건이 계류돼있다.
|
국민 눈높이가 아닌 '여의도 문법'과 '제식구 감싸기' 행태도 지적된다. 김남국 무소속 의원은 거액의 가상자산(코인) 보유 논란으로 윤리위에 제소됐고, 윤리자문위가 제명 권고까지 했지만 민주당 의원들의 반대로 부결됐다. 김 의원이 민주당을 탈당하고, 내년 총선 불출마 선언을 했다는 게 부결 이유로 꼽혔다.
이에 따라 비상설 특위로 격하된 윤리특위를 다시 상설기구로 전환하고, 징계안이 제출되면 윤리특위에 자동 상정되도록 하는 등의 장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윤리위원을 국회의원이 아닌 외부 인사만으로 꾸려 더욱 엄격하게 운영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적지 않다. 고양이 목에 방울 달기가 쉽지 않은 만큼 정치권 밖 인사들이 유권자의 목소리를 담아 회초리를 들어야 한다는 이유에서다.
윤재옥 국민의힘 당 대표 권한대행 겸 원내대표는 지난해 9월 교섭단체 연설에서 "국회의원들의 잘못을 제대로 징계할 수 있도록 국회 윤리특위 운영 개선 TF 구성을 민주당에 제안한다"고 말했지만 실행으로 이어지진 못했다. 21대 국회 윤리특위의 활동 기한은 오는 5월 29일까지다. 하지만 4월 총선 후 약 한달간 윤리특위가 가동될 가능성은 제로에 가까워 사실상 연말을 기점으로 문을 닫은 셈이라는 지적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