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왕실 ‘보물 창고’ 열려...어보·궁중현판 등 공개
국립고궁박물관 수장고, 개관 후 언론 첫 공개
개관 20년 차 수장고 포화 상태…"통합 관리 시설 필요"
전혜원 기자|2024/06/06 10:58
|
손명희 학예연구관은 5일 열린 수장고 언론 공개 행사에서 "지하 수장고 16곳을 포함해 19곳의 수장고를 운영하고 있다"며 "1960년대 중앙청 후생관에서 국립중앙박물관으로, 또 국립고궁박물관으로 바뀐 역사가 묻어있는 공간"이라고 설명했다.
경복궁 주차장 지하에 위치한 수장고는 종이·목제·도자·금속 등 유물의 재질·유형에 따라 나뉘어 총 8만8530점(5월 말 기준)의 유물을 보관하고 있다. 그중에는 태조 이성계부터 철종에 이르기까지 472년간의 역사를 기록한 '조선왕조실록 오대산 사고본'을 비롯한 국보 4건, 보물 27건 등이 있다. 서울시 문화유산까지 포함하면 지정·등록유산만 54건, 세부적으로는 3639점에 이른다. 그렇기 때문에 평소 수장고에 들어가려면 카드키, 신원 확인 등 7∼8중의 보안 절차를 거쳐야 한다. 박물관 직원은 물론 관장조차도 마음대로 갈 수 없는 공간이다.
11 수장고에는 조선 왕조에서 사용한 궁중 현판 766점이 모여 있었다. 1756년 영조가 예를 표하며 걸었다는 '인묘고궁'(仁廟古宮) 현판, 순조의 생모 수빈 박씨를 기리는 사당에 걸린 '현사궁'(顯思宮) 현판 등을 볼 수 있었다.
|
언뜻 보기에는 8만8000여 점의 유물이 질서 정연하게 놓여 있는 듯하지만 속사정은 달랐다. 유물 구입, 기탁 등으로 소장품 수가 늘다 보니 과밀화 문제가 심각한 상황이다. 올해 5월 기준 수장고 시설 대비 유물 보관 현황을 계산한 포화율은 160%에 이른다. 경기 지역의 한 수장시설을 빌려 운영하고 있으나 임시방편이다. 손 학예연구관은 "지하 벙커로 지어진 시설을 개조·보수하다 보니 증축은 어렵다"며 "유물을 보관·관리하고 전시·교육까지 할 수 있는 제2수장고 시설이 필요하다"고 했다.
박물관은 최근 주목받고 있는 개방형 수장고 형식의 분관 건립을 추진 중이다. 서울·경기 지역을 대상으로 후보지를 찾는 한편, 제2수장고 건립·운영을 위한 연구 용역도 진행하고 있다. 정용재 국립고궁박물관장은 "개관 후 다양한 유물을 수집·관리하면서 포화도가 높아진 상황"이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한 왕실 유물 통합 관리 시설 건립 등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