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순 넘어 일하고, 노는 청년 늘어…‘늙어가는 韓 경제’ 단면

이충재 기자|2024/07/16 14:10
북적이는 노인 일자리 박람회/연합뉴스
청년층 취업자가 줄어든 반면 고령층의 경제활동이 늘어나며 연령대에 따른 일자리 양극화가 심화하고 있다. 60세 이상 고령자들이 한 푼이라도 더 벌기 위해 노동 현장에 뛰어들고, 20대 청년들이 양질의 일자리를 찾지 못해 허덕이는 한국 고용시장의 한 단면이다.

무엇보다 급격한 고령사회에 진입한 우리 경제지형을 감안하면 일자리 시장의 고령화는 받아들여야할 숙명에 가깝다는 지적이다. 전문가들은 생산성 증대 방향으로 고용 재조정을 유도할 수 있도록 노동시장 유연화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통계청이 16일 발표한 경제활동인구조사 자료에 따르면 지난 5월 청년층(15∼29세) 취업자수가 17만3000명 줄어들었다. 2021년 1월 31만4000명 줄어든 뒤로 가장 큰 폭의 감소세다.
반면 올해 상반기(1~6월) 70대 이상 취업자 수는 1년 전보다 15만명 늘어난 192만5000명으로 역대 최대 증가 폭을 기록했다. 전체 취업자 증가폭이 상반기 기준 2022년 94만1000명에서 지난해 37만2000명, 올해 22만명으로 하락곡선을 그리고 있지만, 70대 이상 취업자 증가폭은 2022년 14만6000명, 지난해 14만8000명으로 계속 증가세다.

문제는 저출산-고령화와 맞물린 고용시장이 개선될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는 점이다. 통계청의 장래인구추계를 보면 2022년부터 생산연령인구는 10년 간 332만명이 감소하고, 2072년에는 1658만명으로 급감할 것으로 예상됐다. 국내 인구의 절반가량이 '일손을 놓는 사회'가 다가오고 있다는 의미다.

이에 초저출산과 인구 고령화에 발목이 잡힌 고용시장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한 해법으로 기존에 활용도가 낮았던 고령 인력의 노동시장 참여 활성화가 거론되고 있다. 대한상공회의소의 '고령층 일자리의 재발견' 보고서는 60세 이상 고용률이 2023년(45.5%) 보다 5%포인트 상승할 경우 잠재성장률은 0.1%포인트 증가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도 최근 발간한 '2024 한국경제보고서'에서 "노동 수명을 연장하고 노인 고용을 늘리면 국내총생산(GDP)과 재정 성과가 크게 향상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