늑대 아닌 양? 中 외교 전략 변화 조짐
지금까지는 늑대 전사 외교 일관
하지만 최근 변화 조짐 확연
무역전쟁 대비 우호국 확보 차원
한일에 대한 자세 변화에서도 뚜렷
홍순도 베이징 특파원|2024/12/06 05:06
지난 10여 년 동안 중국의 글로벌 외교 전략이었던 이른바 '전랑(戰狼·늑대 전사) 외교'가 '면양(綿羊·양) 외교'로 획기적으로 변화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중국을 거의 잠재적 적국으로 다시 규정할 도널드 트럼프 당선인이 미국 대통령으로 취임하는 내년 1월 20일 이후에는 더욱 그럴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전랑 외교가 이제 수명을 다하고 사라질 수도 있다는 얘기가 되지 않을까 싶다.
베이징 외교 소식통들의 6일 전언에 따르면 과거 중국의 외교 전략은 '도광양회(韜光養晦·실력을 감추고 때를 기다림)'라는 대전제에서 출발했다고 할 수 있었다. 그래서 그 어떤 나라를 상대하더라도 자세가 상당히 부드러웠다. 하지만 시진핑(習近平) 총서기 겸 국가주석이 최고 지도자로 등장한 2012년 11월 이후 서서히 변할 조짐을 보이기 시작했다.
우선 후진타오(胡錦濤) 전 총서기 겸 국가주석 집권 하에서 본격적으로 대두하기 시작한 '화평굴기(평화롭게 부상함)'라는 구호에 걸맞는 적극적인 외교 전략이 더욱 본격적으로 추진됐다. 중국이 당시에 이미 미국을 바짝 뒤쫓는 G2로 빠르게 부상하고 있었던 만큼 충분히 그럴 수 있었다. 그러다 곧 '유소작위(有所作爲·해야 할 일을 적극적으로 함)' 슬로건이 이를 대체하게 된다. 더불어 이때 공격적인 뉘앙스가 강한 전랑 외교라는 말도 생겨났다.
현장에서는 진짜 그랬다. 이는 외교전의 최첨병에 섰던 거의 대부분 외교관들이 표변이라는 표현이 과하지 않을 만큼 과거와는 판이하게 다른 자세를 보인 사실만 봐도 잘 알 수 있다. 조금 심하게 말하면 오만방자했던 이들의 언행은 곧 중국 내에서도 전랑 외교의 교범으로 정착되기에 이른다. 또 이들은 자연스럽게 '전랑'으로 불리기 시작했다. 이후 전랑 외교는 중국 외교의 상징이 됐다고 해도 좋았다.
하지만 최근에는 다시 확 달라진 것 아니냐는 분위기를 물씬 풍기고 있다. 이전의 '도광양회'까지는 몰라도 '화평굴기'에 입각한 온건한 외교 전략으로 다시 회귀하려 한다는 느낌을 주고 있는 것이다. 실제로도 베이징 외교가에서는 '전랑 외교'가 '면양 외교'로 바뀌는 것이 아니냐는 분석을 하고 있기도 하다.
중국이 그럴 수밖에 없는 이유도 있다고 해야 한다. 무엇보다 트럼프 당선인의 파상 공세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전 세계에 우호적인 국가들을 많이 확보해야 한다는 현실적인 필요성을 우선 거론해야 하지 않을까 싶다. 여기에 궁극적으로 미국을 대체할 성숙한 G1 글로벌 리더가 되려면 보다 유연한 외교가 요구된다는 사실도 일부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진짜 그런지는 최근 중국의 외교 행태를 살펴보면 잘 알 수 있다. 한국과 일본을 대하는 태도가 가장 대표적이라고 할 수 있다. 불과 얼마 전까지만 해도 고압적인 자세로 일관했으나 지금은 언제 그랬냐는 듯한 느낌까지 주고 있다. 이외에 대부분 미국에 경도된 유럽연합(EU) 회원국들과도 가능하면 잘 지내고자 하는 행보 역시 꼽을 수 있다. 확실히 트럼프 당선인의 귀환이 확정되기 전에는 보이지 않았던 모습이라고 해도 좋다.
여러 정황으로 미뤄볼 때 중국의 향후 외교 전략은 진짜 '면양 외교' 쪽으로 서서히 기울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고 해야 한다. '전랑 외교'가 역사의 유물이 되는 것은 이제 시간문제라고 해도 좋을 듯하다.
|
우선 후진타오(胡錦濤) 전 총서기 겸 국가주석 집권 하에서 본격적으로 대두하기 시작한 '화평굴기(평화롭게 부상함)'라는 구호에 걸맞는 적극적인 외교 전략이 더욱 본격적으로 추진됐다. 중국이 당시에 이미 미국을 바짝 뒤쫓는 G2로 빠르게 부상하고 있었던 만큼 충분히 그럴 수 있었다. 그러다 곧 '유소작위(有所作爲·해야 할 일을 적극적으로 함)' 슬로건이 이를 대체하게 된다. 더불어 이때 공격적인 뉘앙스가 강한 전랑 외교라는 말도 생겨났다.
하지만 최근에는 다시 확 달라진 것 아니냐는 분위기를 물씬 풍기고 있다. 이전의 '도광양회'까지는 몰라도 '화평굴기'에 입각한 온건한 외교 전략으로 다시 회귀하려 한다는 느낌을 주고 있는 것이다. 실제로도 베이징 외교가에서는 '전랑 외교'가 '면양 외교'로 바뀌는 것이 아니냐는 분석을 하고 있기도 하다.
중국이 그럴 수밖에 없는 이유도 있다고 해야 한다. 무엇보다 트럼프 당선인의 파상 공세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전 세계에 우호적인 국가들을 많이 확보해야 한다는 현실적인 필요성을 우선 거론해야 하지 않을까 싶다. 여기에 궁극적으로 미국을 대체할 성숙한 G1 글로벌 리더가 되려면 보다 유연한 외교가 요구된다는 사실도 일부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진짜 그런지는 최근 중국의 외교 행태를 살펴보면 잘 알 수 있다. 한국과 일본을 대하는 태도가 가장 대표적이라고 할 수 있다. 불과 얼마 전까지만 해도 고압적인 자세로 일관했으나 지금은 언제 그랬냐는 듯한 느낌까지 주고 있다. 이외에 대부분 미국에 경도된 유럽연합(EU) 회원국들과도 가능하면 잘 지내고자 하는 행보 역시 꼽을 수 있다. 확실히 트럼프 당선인의 귀환이 확정되기 전에는 보이지 않았던 모습이라고 해도 좋다.
여러 정황으로 미뤄볼 때 중국의 향후 외교 전략은 진짜 '면양 외교' 쪽으로 서서히 기울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고 해야 한다. '전랑 외교'가 역사의 유물이 되는 것은 이제 시간문제라고 해도 좋을 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