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인사·직지사 불화, 국보 됐다

日서 환수한 고려 나전 상자 등 5건은 보물 지정

전혜원 기자|2024/12/26 13:21
합천 해인사 영산회상도. /국가유산청
조선 후기 불교문화를 보여주는 두 불화가 국보가 됐다.

국가유산청은 '합천 해인사 영산회상도'와 '김천 직지사 석가여래삼불회도'를 각각 보물에서 국보로 승격했다고 26일 밝혔다.

해인사의 영산회상도는 비단 바탕에 석가여래가 설법하는 장면을 묘사한 그림이다. 그림 아래에 적힌 내용에 따르면 1729년 의겸, 여성, 행종, 민희, 말인 등 불화를 전문적으로 그린 승려들이 참여해 제작했다. 제작 책임자 격인 의겸을 붓의 신선인 '호선'(毫仙)이라고 기록한 점을 볼 때, 당대 뛰어난 기량을 가진 화승이었음을 알 수 있다.
이 불화는 석가여래는 크게 부각하고 나머지 도상은 하단에서부터 상단으로 갈수록 작게 그려 상승감을 표현했으며, 가는 금선으로 복식 문양을 세밀하게 표현한 점이 특징이다.

김천 직지사 석가여래삼불회도. /국가유산청
1980년 보물 지정 이후 약 44년 만에 국보가 된 직지사 석가여래삼불회도는 중앙의 영산회상도를 두고 좌우에 약사여래설법도·아미타여래설법도를 둔 3폭 그림이다. 현존하는 삼불회도 가운데 3폭이 온전하게 남아 있는 가장 오래된 불화로 꼽힌다.

국가유산청은 최근 일본에서 환수한 '나전국화넝쿨무늬상자'와 '양양 선림원지 출토 금동보살입상', '화성 용주사 감로왕도', '상교정본자비도량참법' 등 4건은 보물로 지정했다.

총 770개의 국화 넝쿨무늬를 장식한 나전 상자는 고려 공예를 보여주는 대표 유물이다. 얇게 갈아낸 자개를 오려내 붙이거나 가늘게 잘라내 끊어가며 무늬를 표현한 흔적이 잘 남아 있으며 보존 상태도 뛰어나 가치가 큰 것으로 평가받는다.

나전국화넝쿨무늬상자. /국가유산청
양양 선림원지 출토 불상은 오랜 기간 흙 속에 묻혀 있다가 2015년 찾은 유물로, 9세기 불교 미술의 '명작'으로 꼽힌다. 엎어진 채로 발견됐으나 약 5년간의 보존 처리 과정을 거쳐 최근 제 모습을 찾았다.

화성 용주사에서 물과 육지를 헤매는 영혼을 달래고 위로하기 위해 올리는 불교 의례인 수륙재에서 쓰기 위해 제작한 불화인 감로왕도도 보물이 됐다. 이와 함께 여러 경전에 들어 있는 참회의 방법과 내용 등을 일정한 체계로 엮은 '자비도량참법'을 후대에 다시 정리한 상교정본자비도량참법도 보물로 지정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