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엔 비은행권 발 가계부실 ‘시한폭탄’
윤광원 기자
2011/03/04 09:58
2011/03/04 09:58
신용협동기구 위험, 저축은행도...최근 신용대출 급증
윤광원 기자] 저축은행들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부실화로 무더기 영업정지 등 홍역을 치른 가운데, 이번에는 비은행권 발 가계대출 부실화가 우리 경제에 시한폭탄이 되고 있다.
가계부채 문제 중에서도 은행보다 △상호금융회사(농협 수협) 및 신협, 새마을금고 등 신용협동기구와 △여신전문금융회사들의 가계대출이 급증하고 있으며, 가뜩이나 어려운 저축은행 업계에 새로운 위기를 몰고 올 가능성도 있다.
4일 한국은행(총재 김중수)과 금융감독원(원장 김종창) 및 경제연구소들에 따르면, 작년말 현재 예금은행들의 가계대출 잔액은 431조5000억원으로 전년 동기대비 5.4% 증가에 그쳤으나, 비은행권은 314조5000억원으로 11.3%나 급증했다.
전체 가계대출에서 은행권이 차지하는 비율은 지난 2006년말 62.9%에서 지난 연말에는 57.8%로 하락한 반면, 비은행권은 그만큼 상승했다.
이규복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은행권은 글로벌 금융위기이후 위험관리를 강화하면서 대출증가세가 둔화됐지만, 경기침체와 고용부진 및 소득감소 등에 따른 서민층의 높은 대출수요가 비은행권의 대출 확대로 이어졌다”고 밝혔다.
특히 신용협동기구와 여신전문금융회사들의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신용협동기구들은 글로벌 금융위기 기간 중에도 10%를 넘는 증가율을 보였으며, 지난해에는 15%를 넘었다.
이에 따라 가계대출 잔액도 2006년말 87조5000억원에서 2010년말에는 154조8000억원으로 2배 가까이 급증했고, 전체 가계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같은 기간 15.9%에서 20.3%까지 상승했다.
여신전문금융사들도 카드론을 중심으로 작년 증가율이 15%에 육박했고, 가계대출에서의 비중도 2009년말 0.97%에서 지난해 9월말에는 1.25%로 높아졌다.
부동산 PF대출 부실의 직격탄을 맞은 저축은행들도 예외가 아니다.
더욱이 비은행권은 주택담보대출 비중이 작년 1분기말 46.1%에서 연말에는 44.5%로 낮아지고 대신 신용대출 비중이 상승, 채권회수 가능성에 적신호가 켜졌다.
실제 2010년 6월말 기준 가계대출 연체율은 일반은행이 0.65%인 데 반해, 비은행권은 무려 6배가량 높은 3.94%를 기록했다.
이 연구위원은 “상대적으로 금리가 높은 비은행권 가계대출 증가로 서민층의 금융비용 부담이 확대되면, 부실이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며 “금융당국은 부실가능성을 예측하고, 건전성 관리 강화와 부실확대시 처리방안 선제적 마련 등을 지도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은미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도 “비은행권 대출잔액의 3분의 2 가량이 주택담보대출 이외의 신용대출 등으로 구성돼 있어, 가계대출 부실화 위험성이 은행보다 높다”고 말했다.
그는 “은행에 대한 대출규제가 강화되면서 ‘풍선효과’로 비은행권 가계대출이 급증하고 있다”며 “최근 저축은행이 부동산 PF대출 부실화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가계대출이 추가적 위험요인으로 작용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금감원도 상호금융사와 신협, 새마을금고 가계대출에 대한 관리를 강화하고 있다.
금감원은 지난달 말 농·수·신협중앙회 관계자들과 워크숍을 갖고, 가계대출에 대한 리스크 관리를 강화하겠다는 입장을 전달했다.
또 최근 자산이 급격하게 늘어나는 등 잠재위험이 높은 조합을 선정, 중앙회와 공동으로 점검하고 개별 상황에 맞는 대응방안도 마련토록 할 계획이다.
가계부채 문제 중에서도 은행보다 △상호금융회사(농협 수협) 및 신협, 새마을금고 등 신용협동기구와 △여신전문금융회사들의 가계대출이 급증하고 있으며, 가뜩이나 어려운 저축은행 업계에 새로운 위기를 몰고 올 가능성도 있다.
4일 한국은행(총재 김중수)과 금융감독원(원장 김종창) 및 경제연구소들에 따르면, 작년말 현재 예금은행들의 가계대출 잔액은 431조5000억원으로 전년 동기대비 5.4% 증가에 그쳤으나, 비은행권은 314조5000억원으로 11.3%나 급증했다.
이규복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은행권은 글로벌 금융위기이후 위험관리를 강화하면서 대출증가세가 둔화됐지만, 경기침체와 고용부진 및 소득감소 등에 따른 서민층의 높은 대출수요가 비은행권의 대출 확대로 이어졌다”고 밝혔다.
특히 신용협동기구와 여신전문금융회사들의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신용협동기구들은 글로벌 금융위기 기간 중에도 10%를 넘는 증가율을 보였으며, 지난해에는 15%를 넘었다.
이에 따라 가계대출 잔액도 2006년말 87조5000억원에서 2010년말에는 154조8000억원으로 2배 가까이 급증했고, 전체 가계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같은 기간 15.9%에서 20.3%까지 상승했다.
여신전문금융사들도 카드론을 중심으로 작년 증가율이 15%에 육박했고, 가계대출에서의 비중도 2009년말 0.97%에서 지난해 9월말에는 1.25%로 높아졌다.
부동산 PF대출 부실의 직격탄을 맞은 저축은행들도 예외가 아니다.
더욱이 비은행권은 주택담보대출 비중이 작년 1분기말 46.1%에서 연말에는 44.5%로 낮아지고 대신 신용대출 비중이 상승, 채권회수 가능성에 적신호가 켜졌다.
실제 2010년 6월말 기준 가계대출 연체율은 일반은행이 0.65%인 데 반해, 비은행권은 무려 6배가량 높은 3.94%를 기록했다.
이 연구위원은 “상대적으로 금리가 높은 비은행권 가계대출 증가로 서민층의 금융비용 부담이 확대되면, 부실이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며 “금융당국은 부실가능성을 예측하고, 건전성 관리 강화와 부실확대시 처리방안 선제적 마련 등을 지도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은미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도 “비은행권 대출잔액의 3분의 2 가량이 주택담보대출 이외의 신용대출 등으로 구성돼 있어, 가계대출 부실화 위험성이 은행보다 높다”고 말했다.
그는 “은행에 대한 대출규제가 강화되면서 ‘풍선효과’로 비은행권 가계대출이 급증하고 있다”며 “최근 저축은행이 부동산 PF대출 부실화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가계대출이 추가적 위험요인으로 작용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금감원도 상호금융사와 신협, 새마을금고 가계대출에 대한 관리를 강화하고 있다.
금감원은 지난달 말 농·수·신협중앙회 관계자들과 워크숍을 갖고, 가계대출에 대한 리스크 관리를 강화하겠다는 입장을 전달했다.
또 최근 자산이 급격하게 늘어나는 등 잠재위험이 높은 조합을 선정, 중앙회와 공동으로 점검하고 개별 상황에 맞는 대응방안도 마련토록 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