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중일 협력사무국과 중국공공외교협회, 칭다오 정부 공동 주최로 열린 이번 포럼에서는 '포스트코로나 시대 한중일 협력 재활성화: 전략소통·경제무역 연결·민심상통(相通)'을 주제로 각국 인사들이 머리를 맞댔다.
당 기관지 런민르바오(人民日報)의 자매지 환추스바오(環球時報)의 보도에 따르면 외교부장을 지낸 중국의 외교 라인 1인자인 왕이(王毅) 당 중앙정치국 위원 겸 중앙외사공작위원회 판공실 주임은 이날 인사말을 통해 "포럼이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3국 협력에 초점을 맞춘 것은 시의적절했다"면서 "코로나19가 유행한 3년 동안 세 나라 사람들은 서로 도우면서 한배를 탔다. 어려움을 극복한 수많은 감동적인 얘기를 남겼다"고 말했다.
이어 왕 위원 겸 주임은 "이는 가까운 이웃의 정을 충분히 보여준 것"이라고 평가한 후 "늘 비바람이 지나간 뒤 햇빛이 찾아오듯 한중일은 반드시 기회를 움켜쥐고 손잡고 나아가 세 나라와 지역에 더 많은 공헌을 해야 한다"고도 덧붙였다.
행사 주최 측인 한중일 협력사무국과 중국공공외교협회는 각국 정부와 연결된 기관인 만큼 이번 행사에서의 논의는 한중일 3국 정상회의 개최 등 정부 차원의 협력 추진에도 참고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연말에 한중일 정상회의 개최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는 것은 바로 이 때문이라고 해야 한다.
서울에 본부를 둔 한중일 협력사무국은 한중일 3국 협력체제 산하의 각종 협의체 운영을 지원하고 협력 사업을 발굴 및 지원하는 등의 역할을 맡는 3국 정부 간의 국제협의체이다. 2010년 5월 한중일 정상회의 합의에 따라 2011년 9월 공식 출범했다. 사무총장은 세 국가가 돌아가면서 2년씩 맡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