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경찰청 24시] ‘112사건 전파앱’ 내달 전면 시행…정보 과부하 우려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424010014763

글자크기

닫기

설소영 기자

승인 : 2025. 04. 24. 16:09

5월 1일부터 지역경찰까지 활용 확대
"디지털 격차 해소 문제도 고려돼야" 지적
GettyImages-jv13894798
기사와 관련없는 이미지. /게티이미지뱅크
경찰의 현장 대응 체계를 개선하기 위해 도입된 '112사건 전파앱'이 다음 달 1일 전면 시행을 앞두고 있다. 그러나 일선 경찰들 사이에서는 과도한 알림이 업무 집중력을 해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24일 경찰청에 따르면 경찰은 이태원 참사 당시 정보 공유 지연을 반면교사 삼아 신고 접수 후 상황을 실시간으로 공유하는 시스템을 마련하고자 2023년 6월 '112사건 전파앱'을 도입했다. 

현재는 전국 경찰서장을 비롯해 형사·교통·여성청소년과 등 관련 부서 과장, 지역 관서장들이 사용 중이다. 경찰은 이 앱의 활용 대상을 지역 경찰까지 확대하기 위해 지난해 약 1억원의 예산을 확보해 앱 고도화 작업을 추진했고, 올 3월 보안성 검토를 마치고 지역까지 포함한 앱을 최종 개발했다.

112사건 전파앱을 사용하며 경찰은 기존 문자 전파 방식에서 벗어나 디지털 앱을 통한 실시간 정보 공유가 가능하다. 실제로 지난해 경찰이 정보 공유를 위해 전파한 문자는 3374만건이었다. 문자 1건당 24.85원에 달하는 비용을 절약하게 되면서 경찰은 연간 8억7000만원 상당 예산 절감 효과도 기대하고 있다.

하지만 현장에서는 업무폰 알림이 연속적으로 울릴 경우 기존 문자나 SNS보다 정보 과부하를 유발할 가능성이 크다는 지적이다. 일선의 한 경찰 관계자는 "상황 전파 목적은 이해하지만, 과도한 알림은 오히려 집중력을 해칠 수 있다"고 토로했다.

전문가들은 앱의 도입 취지는 명확하지만 디지털화의 이면에 자리한 '피로 사회' 문제까지 함께 들여다봐야 한다고 했다. 이웅혁 건국대 경찰학과 교수는  “112 신고 중에는 거짓 신고나 경미한 사건도 많다”며 “중요도에 따라 정보 전파를 선별적으로 운영하는 것이 선택과 집중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설소영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