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장성택 실각...중국식 개혁·개방 월권행위가 죄목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904218

글자크기

닫기

양승진 기자

승인 : 2013. 12. 05. 11:48

잠깐동안 권력주변 병풍역할에 불과...김정은 1인통치는 가속

최근 실각한 것으로 알려진 북한 국방위원회 부위원장이자 김정은의 고모부인 장성택.

북한의 2인자인 장성택이 하루 아침에 실각된 이유는 뭘까.

북한 문제에 밝은 대북 소식통은 5일 "장성택의 실각은 중국식 개혁·개방을 주장하다 김정은의 핵심 강경파들에 밀린 것"이라고 말했다.
 
이 소식통은 "중국, 일본과 교분이 많은 장성택이 처음부터 부분 개방이 아닌 중국식 전면 개혁·개방을 주장하자 김정은과 그의 핵심 강경파들은 제한적인 개방을 원해 그 갈등끝에 나온 결과물"이라고 분석했다.

장성택과 김정은의 갈등은 지난해 장성택이 중국을 방문했을 때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장성택은 김정은의 의지와 무관하게 개혁·개방론을 폈고, 이 모습이 마치 북한의 입장을 대변하는 듯 보여 '월권행위'가 문제가 됐었다고 전했다.

이 소식통은 "장성택이 김정은의 북중 경제협력 의지나 의도를 정확히 파악하지도 않고 자기 맘대로 전달한 것이 결국 화근이었다"면서 "이때부터 최룡해 총참모장을 비롯해 군부 강경파들이 장성택에 대한 비판 수위를 높이기 시작했다"고 덧붙였다. 

그는 또 "황금평 개발이나 신의주 특구 등 장성택의 외화벌이에 관련된 사업 등은 타격이 불가피하다"며 "개혁·개방과 관련해 주민들의 삶의 질은 더 팍팍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북한 엘리트 출신 한 탈북자도 "중국과 친한 장성택이 중국식 개혁·개방론을 펼쳤지만 김정은과 최용해는 중국식 사회주의를 하면 망한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어 이게 결국 곪아 터진 것"이라고 말했다.

이때부터 최용해는 장성택과 관련된 것을 김정은에게 일일이 보고하는 등 밀착 감시를 진행해왔다.

이 탈북자는 "최근 북한 주민들 사이에서 경제통인 장성택이 지도자가 되면 이렇게 못살지는 않을 것이란 소리가 많았고 쿠데타설도 이 때 나왔다"고 말했다.

주민들 사이에서 장성택이 지도자로 부각되고 있다는 것을 안 최용해는 김정은에게 이 사실을 알리자 이때 큰 결심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고 탈북자는 전했다.

또 다른 탈북자는 "장성택은 2번의 숙청이 있었기 때문에 잠깐 권력주변의 병풍역할을 한 것에 불과했고, 본인도 이걸 알고 있었을 것"이라며 "장의 실각으로 2인자로 떠오른 최용해도 언제 실각될 지 모른다"고 말했다.  

그는 또 "북한 주민들의 동요를 막기 위해 군에 비상대기 명령을 하달한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김정은도 민심에 촉각을 세우고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남한과의 관계와 관련, "장성택의 실각으로 군부 강경파가 득세해 군사적 도발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며 "김정은의 1인통치가 갈수록 힘을 얻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양승진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