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성장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은 5일 “이들에게 적용된 죄목은 구체적으로 ‘월권’과 ‘분파행위’, ‘당의 유일적 영도체계 거부’ 등”이라고 말했다.
정 위원은 “이들은 ‘장성택 등의 뒤에 숨어서 당 위의 당으로, 내각 위의 내각으로 군림하려 했다’고 비판받았다”며 “‘경제과업 관철 및 군사 분야에까지 관여하려 책동했다’고도 비판 받은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고 전했다.
정 위원은 이어 “이들이 모두 당중앙위원회 간부이므로 이들의 ‘반당 혐의’에 대한 조사는 김원홍 국가안전보위부장과 당중앙위 조직지도부에 의해 이뤄졌을 가능성이 높다”고 했다.
그러면서 “최룡해가 관장하는 총정치국은 당중앙위원회 행정부에 대해 조사할 권한이 없다”면서 “이를 고려할 때 최룡해나 군부가 장성택 측근의 숙청에 관여했을 가능성은 낮아보인다”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 정보당국도 “올해 들어 보위부에서 장성택 심복에 대한 비리혐의를 포착하고 내사에 들어가는 등 일부에서 견제 분위기가 나타나면서 장성택은 공개활동을 자제해왔다”고 밝혔다.
정 위원은 이어 “이용하와 장수길의 공개처형 시점은 지난달 29일 김정은 노동당 제1비서의 삼지연군 방문 직전으로 판단된다”면서 “공개처형 후 김정은은 핵심 측근들과 함께 삼지연을 방문해 장성택의 실각으로 인한 업무 공백을 메우고, 장성택이 담당하는 외자유치, 체육지도 등의 권한을 누구에게 맡길 것인지 등을 논의했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그는 또 “장성택의 실각으로 최룡해 총정치국장이 확실한 제2인자 자리를 굳히게 됐다”면서 “최룡해의 영향력이 지나치게 확대될 경우 최룡해의 영향력을 견제할 수 있는 건 김원홍 국가안전보위부장일 것”이라고 분석했다.
장성택의 실각으로 인한 김정은 체제의 공고화에 대해선 “장성택의 실각은 북한의 엘리트들에게 불안감을 주어 김정은에 대한 충성 경쟁을 유발하고 그로 인해 김정은의 권력이 더욱 공고화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도 “다만 장성택의 실각으로 급격히 커진 최룡해의 영향력을 김정은이 제대로 통제하지 못한다면 정권 불안정을 유발하는 요인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